유방암

Q. 림프부종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어떻게 확인하나요?

2023.01.11.

림프부종 자가체크리스트(?) 는 없을까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증상
#발생원인
#정보찾기
#예방법
#운동/신체활동
#피부관리
#자가검진
#림프부종
#의사소통

이란, 피부의 바로 아래인 지방 조직에 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것입니다. 림프액은 몸 전체에 흐르면서 몸 속의 체액을 균형 있게 유지시키고, 노폐물과 불필요한 단백질, 박테리아를 제거하며, 바이러스나 세균과 싸우기 위한 항체인 림프구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림프계의 손상이나 막힘 현상이 발생하면, 림프액이 흐르지 못하고 고여서 림프부종이 발생하게 됩니다. 환자에게 림프부종이 나타나는 원인으로는 감염, 손상, , 의 절제, 방사선 치료나 수술로 인한 조직의 상처 등이 있습니다.

림프부종의 초기 단계에서는 대부분 피부를 손끝으로 누르면 쉽게 눌리는 상태로 휴식 후에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후에는 점차 피부 조직이 섬유화되면서 단단해지고 두꺼워져서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는 상태로 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림프부종 증상은 무겁고 불편한 느낌이 들 뿐만 아니라, 감염 위험성이 높아지며, 운동 능력을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림프부종을 조기에 발견하여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습니다.

림프부종을 진단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기준이 없지만, 주로 림프부종이 생긴 환자들은 해당 부위가 무겁거나, 부풀어 있는 느낌을 호소합니다. 이때 부종이 생긴 부위의 염증반응 혹은 상처 여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고, 특히 수술을 받았을 경우 수술의 종류와 수술 후 문제, 수술 후 부종이 발생한 시기 등이 중요한 판단 요소가 됩니다. 따라서 유방암 수술(림프절 절제)을 받으셨거나, 방사선 치료를 하셨다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지 면밀히 관찰하시고,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담하여 신속하게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 신체의 일부(가슴, 어깨, 팔, 다리 등)가 붓고 당기는 느낌
  • 피부가 붉어지거나 뜨거워지는 염증 증상
  • 팔과 다리의 힘이 약해진 느낌
  • , 쑤시는 느낌 혹은 무거운 느낌, 혹은 무감각
  • 옷을 입거나 신발을 신을 때 이전보다 조이는 느낌
  • 목걸이, 반지, 시계/팔찌를 착용할 때 이전보다 팽팽한 느낌

위 증상이 나타날 경우, 림프부종 부위의 크기, 둘레, 색, 온도 등 피부의 변화를 기록하여 의료진에게 공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추가로 림프부종을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만은 림프부종의 위험을 높이므로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기
  • 운동을 통해 림프액을 순환시키고 배출하기
  • 피부 감염 및 화상을 주의하기
  • 림프부종이 없는 건강한 사지에 주사, 채혈 시행하기
  • 꽉 끼는 의복, 장신구 피하기
  • 압박 스타킹, 토시 착용으로 부기 예방하기 (적절한 압력이 필요하므로 의료진의 조언 따르기)
  • 림프 마사지로 림프 배액 하기 (피부 감염, 혈전의 위험이 있을 경우에는 금지)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o:p>

참고문헌<o:p>

       https://www.cancer.go.kr/lay1/S1T426C428/contents.do<o:p>

       People at Risk of Lymphedema | Lymphedema Risk Factors (cancer.org)<o:p>

       Lymphedema - Diagnosis and treatment - Mayo Clinic<o:p>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