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분명:)**의 경우 의 작용을 방해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로, 폐경 후 여성의 치료에 사용하거나 유방암 고위험군의 예방요법으로도 사용합니다. 이 약의 표준 복용법은 아침, 저녁 하루에 2번으로 하여 경구 투여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5년 이상의 장기 복용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약물을 매일 2번씩 일정 시간에 복용하도록 하는 것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는 약물을 처방대로 잘 복용하는 것을 뜻하는 “복약 순응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놀바덱스의 하루 용량을 표준 복용법과 같이 1일 2회로 분할하여 투여한 경우와, 분할하지 않고 한꺼번에 1일 1회 복용한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약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등한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했습니다. 치료의 에는 복약 순응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약물을 처방할 시에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처방 용법(용량과 횟수)을 고려하게 되며, 놀바덱스 이외에도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 환자분의 성향 등 전반적인 상황을 반영하여 처방하기 때문에 복용법의 차이가 생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 **(성분명:)**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서 에스트로겐 의존적 의 성장을 억제하는 데 사용하는 약물로, 매달 3.6mg을 피하주사로 투여하는 것을 표준 투약법으로 하고 있습니다. 3개월에 10.8mg을 투여하는 졸라덱스의 경우, 원래는 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 유방암에서도 졸라덱스를 사용하게 되면서, 매달 3.6mg을 투여하는 것보다 3배의 용량을 합쳐 3개월마다 투여하게 될 경우 그 빈도수가 적어 유방암 환자들에게 좀 더 편리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약물 투여 주기에 따른 안정성 및 효능 관련 연구들이 되었고, 그 결과 약물의 혈청 농도 및 그 효과, 안정성, 즉 임상적 효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습니다. 종합하여 말씀드리자면, 약물 투여 주기의 경우 특별한 기준이 있기보다는 환자분의 외래 방문일정과 같은 편의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시면 됩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약학정보원 홈페이지
- Buzdar, A. U., Hortobagyi, G. N., Frye, D., Ho, D., Booser, D. J., Valero, V., ... & Yeh, C. (1994). Bioequivalence of 20-mg once-daily tamoxifen relative to 10-mg twice-daily tamoxifen regimens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2(1), 50-54.
- Noguchi, S., Kim, H. J., Jesena, A., Parmar, V., Sato, N., Wang, H. C., ... & Shin, E. (2016). Phase 3, open-label, randomized study comparing 3-monthly with monthly goserelin in pre-menopausal women with estrogen receptor-positive advanced breast cancer. Breast Cancer, 23, 771-779.
- Sun, H., Yuan, M., Wang, X., Jiao, X., Pan, Z., Li, H., ... & Wang, G. (2022).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trimonthly administration of goserelin acetate 10.8 mg in premenopausal Chinese females with symptomatic adenomyosis: a prospective cohort study. Gynecological Endocrinology,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