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강형 아형의 유방암의 항암치료를 결정하는 유전자 검사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어? 그리고 그 결과는 어떻게 해석해? 예를 들자면, 수술 후 암의 크기가 1.5cm 에 림프절 전이가 1개 있었고, 호르몬 수용체는 양성이고 HER2는 음성이야. 유전자 검사 결과에 따른 항암치료 유무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궁금해.
은 유전자 발현에 따라 내강형, 기저형 등 여러 가지 분자아형 종류가 있습니다.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해 드리면, 유방암 유전자가 가지고 있는 유전 정보를 이용해 특정 단백질을 만들어 냄에 따라 달라지는 분자아형(Luminal A, Luminal B, HER2, Basal, Normal breast-like) 종류가 있습니다. 이 분자아형 종류는 유방암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요인 중의 하나인데, 분자아형 종류 외에 크기, 유무, 호르몬 수용체 양성 여부 등 유방암 치료 방법을 결정할 때는 여러 요인의 고려가 필요합니다. 질문자님께서 문의하신 내강형 아형(Luminal subtypes)은 분자아형 중에서 내강형 A(Luminal A) 또는 내강형 B(Luminal B)에 해당합니다.
* 내강형 A(Luminal A)
: 유방암의 분자아형 중에서 약 40%를 차지합니다. 수용체 또는 수용체 양성이며, HER2 수용체는 음성입니다. 호르몬 치료에 효과 및 가 좋습니다.
* 내강형 B(Luminal B)
: 유방암의 분자아형 중에서 약 15-20%를 차지합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또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이며, HER2 수용체는 경우에 따라 양성이나 음성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항암 치료에 효과가 좋지만, 예후는 내강형 A보다 좋지 않은 편입니다.
에 따르면, 초기 침습성 유방암 진단 및 치료, 유방암 수술 후의 전신 치료(예: , 항호르몬 요법 등)나 보조 치료에 대한 결정은 유방암의 분자아형을 온코타입(Oncotype) 또는 (Mammaprint) 같은 유전자 검사를 통해서 결정한다고 합니다. 유전자 검사의 해석은
* 온코타입(Oncotype) 검사
: 미국 표준 치료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유방암 유전자 검사입니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대상으로 유방암의 예후와 관련되는 21개의 유전자를 검사하여 유방암의 가능성과 항암암화학요법 효과를 확인합니다.
* 맘마프린트(Mammaprint) 검사
: 미국 표준 암 치료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유전자 검사입니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과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유방암 예후와 관련된 70개의 유전자를 검사하여 유방암의 재발 가능성과 항암화학요법 효과를 확인합니다. 온코타입 검사보다 검사 대상 환자군이 넓습니다.
미국 표준 암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온코타입 또는 맘마프린트 유전자 검사는 불필요한 항암화학요법을 하지 않으려고 실시하는 것입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서 유방암 재발 가능성이 높게 나온다면, 항암화학요법 효과가 높다는 것이기 때문에 담당 의사 선생님과 여러 가지 상황들을 고려하여 상담하시고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선택하시기를 권고해 드립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루닛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