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환자입니다 지인이 보내준 볶은 우엉차를 먹어도 되나요? 뿌리 음식이라 혹시나 해서...
우엉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이뇨작용을 도우며, 항산화, 항염증, 항종양의 효능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엉을 볶으면 풍미가 증가하여 볶은 우엉을 따뜻한 물에 우려 우엉차의 형태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엉의 뿌리에서 발견 되는 성분 중에는서 산화 방지제는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억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우엉의 뿌리에서 가장 흔한 활성 화합물 중 하나인 탄닌은 배탈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의 성장을 억제하며 면역 조절의 특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우엉에는 다양한 효능이 있지만, 리그난이라는 식물성 이 함유되어 있어 호르몬 양성 환자가 치료 중인 경우에는 드시는 것이 조금 조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화학 구조에 따라 과 리그난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들은 에스트로겐 효과와 효과 모두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직 확정해서 말씀드리기에 연구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현재까지 정립된 수준으로 치료 중인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콩, 두부, 두유 등을 드시는 것을 피하지는 않아도 된다는 정도가 권장되고 있습니다. 다만, 별도의 보충제 형태나 약물은 피하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우엉의 성분으로 식물성 에스트로겐 역할을 하는 리그난은 일반적인 과일이나 채소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 호르몬 음성의 유방암에는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경우에는 그 효과를 찾아보기 힘들고, 우엉의 성분이 유방암에서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호르몬 수용체와 관련이 없음을 보이는 연구 결과도 있었습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면, 이소플라본 식품과 같이 현재 호르몬 양성 유방암을 포함한 유방암 환자의 볶은 우엉차 섭취에 대한 안정성 및 위험성을 확실하게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따라서 볶은 우엉차 섭취 가능 여부에 대한 질문에 답변을 드리는 것이 조심스럽습니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연령, 식물성 에스트로겐 유형, 암의 유형, 농도 및 복용량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질문자님의 건강 상태, 치료 과정에 따라 섭취할 수 있는는 차의 종류, 적정 권장량, 이를 섭취했을 때 유방암 치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담당 의사선생님 또는 영양사 선생님과 상담해 보시는 것을 권유해 드립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