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유방암 크기, 가늘고 긴 부분까지 포함해야 하나요?

2023.06.20.

지방의 외과에서 유방초음파 및 조직검사에서 1cm크기의 악성 종양이 발견되었습니다. 그런데 수술받기위해 찾은 대형병원에서 초음파를 보시더니 1cm 크기의 동그란종양에 이어서 옆으로 가늘고 길게 보이는것도 암이 퍼진것 같다고 의심된다고 하십니다. 제가 궁금한건 암의 크기를 재는 기준인데요. 이런경우 암의크기는 전체 길이로 보아야 하나요(가늘고 길게 퍼진 부분까지)? 아니면 원형로된 암의 지름으로 보나요? 갑자기 암의크기가 1센치에서 4~5센치로 커진게 되 버려서 당혹스럽네요 ㅠ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전이
#검사결과
#병기/TNM분류
#초음파검사
#세포/조직검사
#이차소견
#진료과
#유방

초음파 결과를 다시 받아보시고 당혹스럽고 염려되셨을 상황에 충분히 공감합니다. 물어보신 의 크기를 재는 기준에 관하여 설명을 드립니다.



의 크기는 종양의 형태에 따라서 측정하는 기준이 조금 다릅니다. 종양이 단일한 둥근 형태인 경우는 종양의 가장 큰 부분의 가로 길이인 최대 직경(원의 지름)을 측정합니다. 반면, 복잡한 형태의 종양이나 조직 내의 종양인 경우는 종양이 존재하는 부위의 경계영역 중에서 최대 길이, 폭, 높이를 각각 측정하여 종양의 용적(부피)을 추정합니다. 따라서 질문자님의 두 번째 유방 초음파에서 보였던 가늘고 길게 보이는 것이 악성 종양 과 연계된 것이라면, 기존에 관찰되었던 종양과 함께 포함해서 크기를 측정하게 됩니다.



종양의 정확한 크기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유방 촬영술, 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CT) 등 많은 유방 영상 도구를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초음파는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는 도구 중에서 비교적 정확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초음파는 검사자와 사용하는 기기에 의존도가 높아서 검사자의 능력, 기기의 해상도, 기기의 위치, 환자분의 자세, 검사 시 압박 정도 등 다양한 요인이 측정의 정확도에 영향을 줍니다. 또한 종양 주변에 하얗고 작은 가루를 뿌려놓은 듯하게 보이는 미세석회가 넓게 퍼져 있거나, 덩어리 없이 불규칙한 형태인 비성 병변이 넓게 퍼져 있으면 종양의 크기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지방의 외과와 대형 병원에서 두 번의 초음파를 하셨는데요. 초음파 검사의 제한점과 종양의 크기를 확인하기 어렵게 하는 미세석회 혹은 비종괴성 병변과 같은 특징이 있는 경우에는 두 기관에서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가늘고 길게 보이는 병변이 악성 병변으로 암이 퍼진 것으로 의심할 수는 있으나, 초음파로만 평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조직검사가 이루어져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저희의 답변이 질문자님의 걱정과 고민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루닛케어에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여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