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리 진단을 받으신 이후에 상피내암 진단도 받으셨군요. 한 달 뒤에 유방암 상피내암 2차 수술을 앞두어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직 특정 비타민이나 식이섬유가 직장암 혹은 유방암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직장암 진단을 받으신 이후에 드시는 약이 있다면, 비타민이나 식이섬유와 약의 상호작용을 조심해야 합니다. 따라서 문의하신 비타민C, 비타민D, 비타민B군, 혹은 식이섬유 장약을 계속 드시고 싶다면, 질문자님의 상황과 건강 상태를 알고 있는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의해 보시기를 권유해 드립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비타민C, 비타민D, 비타민B군, 그리고 식이섬유의 암에 관한 연구 정보와 한국인 영양 섭취 기준에 관한 내용을 전달해 드립니다.
[비타민 C]
- 우리 몸에서 역할과 여러 생리 기능의 보조 역할을 담당하는 영양소입니다. 항산화제는 암 치료 중에 발생하는 정상 세포의 손상을 보호할 수 있지만, 암세포도 보호하여 암 치료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암 환자의 보충제 섭취와 관련한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비타민 C 보충이 모든 암의 낮은 률과 관련이 있으며, 유방암의 낮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비타민 C 보충이 일부 암 환자의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임상 연구의 수가 많지 않아서 증명할 수 없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리고 유방암 환자의 보충제 섭취와 관련한 또 다른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치료 전과 치료 중의 항산화제 사용이 유방암 재발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보고했습니다.
- 암 환자와 비타민 C 보충제 섭취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결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암 치료 기간에는 균형 있는 식사를 통한 비타민 C 섭취를 권합니다.
-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의 하루 권장섭취량은 100mg입니다. 감귤류, 키위, 망고 등의 과일과 풋고추, 시금치, 케일 등의 녹색 채소류에 풍부하며, 식물성 식품에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타민 D]
- 우리 몸에서 칼시트리올이라는 호르몬을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영양소입니다. 칼시트리올은 칼슘의 흡수와 대사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지만, 면역반응의 조절 및 세포증식의 억제 기능도 있어서 암세포를 억제할 수 있다는 가설로 한 연구들이 있습니다.
- 암 환자의 보충제 섭취와 관련한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비타민 D 보충이 모든 암의 낮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리고 환자와 관련한 다른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비타민 D 보충이 치료 보호 효과가 있으며,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긍정적인 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하지만 유방암 환자와 또 다른 관련한 체계적 문헌 고찰은 없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고용량 비타민 D 보충이 치료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고 보고했습니다.
- 암 환자와 비타민 D 보충제 섭취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의학적 근거가 있다고 하기는 부족합니다. 따라서 암 치료 기간에는 균형 있는 식사를 통한 비타민 D 섭취를 권합니다.
-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의 하루 충분섭취량은 10~15mcg(400~600IU)입니다. 청어, 갈치, 연어, 고등어, 참치 등의 생선과 육류의 간에 풍부하고 달걀, 치즈, 버섯류에 소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우리 몸은 햇볕에 노출되면 비타민 D를 생성합니다.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하루 15~20분 정도의 야외 활동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비타민 B군]
- 우리 몸에서 각종 대사 작용을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영양소로 8개가 있습니다.
- 암 환자의 비타민 B군 보충과 관련한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치료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지만, 암 치료로 발생하는 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이라고 보고했습니다.
- 비타민 B1 (티아민):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하며, 만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권장섭취량은 남자 1.1~1.2mg이고 여자 0.8~1.1mg입니다. 돼지고기를 포함한 육류, 씨눈이 있는 곡류, 두류, 감자류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산화환원 반응에 관여하며, 만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권장섭취량은 남자 1.3~1.5mg이고 여자 1.0~1.2mg입니다. 닭고기를 포함한 육류나 생선류의 동물성 식품과 유제품류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 비타민 B3 (니아신): 여러 생리 기능을 보조하며, 만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권장섭취량은 남자 13~16mg NE이고 여자 12~14mg NE입니다. 효모, 표고버섯(말린 것), 땅콩(볶은 것), 가다랑어, 육류의 간, 참다랑어, 송어, 고등어, 정어리 등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 비타민 B5 (판토텐산): 에너지 대사와 지질 합성에 관여하며,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의 하루 충분섭취량은 5mg입니다. 호밀, 수수, 귀리 같은 잡곡류, 현미와 같은 곡류, 버섯류,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같은 십자화과 채소류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 비타민 B6 (피리독신):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며, 만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권장섭취량은 남자 1.5mg이고 여자 1.4mg입니다. 육류와 같은 동물성 식품에 풍부하고 유제품류에 소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비타민 B7 (비오틴): 포도당과 지방산의 합성에 관여하며,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의 하루 충분섭취량은 30mcg입니다. 대두, 계란노른자, 간, 견과류, 효모, 버섯, 밀 등에 포함되어 있지만, 포함된 양이 많지는 않습니다.
- 비타민 B9 (): 핵산 합성과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며,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의 하루 권장섭취량은 400mcg DFE입니다. 푸른 잎 채소류와 과일류, 해조류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 비타민 B12 (코발라민): 우리 몸의 여러 대사에 관여하며,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의 하루 권장섭취량은 2.4mcg입니다. 어패류(특히 바지락, 모시조개), 육류, 난류 등의 동물성 식품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식이섬유]
- 우리 몸에서 소화가 어려운 식물성 탄수화물로 질병의 직접적인 치료나 예방을 위한 의약품, 건강 유지 도움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의 성분으로 이용되는 영양소입니다. 다른 영양소 혹은 성분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드시는 약이 있다면 반드시 시간의 간격을 두고 드셔야 합니다.
- 대장암과 관련한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식이섬유 섭취가 낮은 사망률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유방암과 관련한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식이섬유 섭취가 낮은 사망률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 하지만 일반적인 식사가 아니라 보충제로 섭취하는 식이섬유와 관련한 연구는 부족합니다. 따라서 암 치료 기간에는 균형 있는 식사를 통한 식이섬유 섭취를 권합니다.
- 만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충분섭취량은 남자 25~30g이고 여자 20g입니다. 대부분의 과일류, 채소류, 곡류, 해조류, 콩류, 버섯류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암 치료 중에는 암을 이겨내기 위한 체력을 위해서 충분한 영양상태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다양한 영양소를 포함하는 식사를 하시기를 권유해 드립니다. 만약 식사가 어려워 영양 보충이 필요하다면,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셔서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른 필요량과 섭취량을 확인하고 보충제 섭취를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질문자님의 걱정과 고민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루닛케어에 편하게 질문을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여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 한국영양학회 홈페이지
- 한국유방암학회 홈페이지
- MDS 매뉴얼 홈페이지
- Ambrosone, C. B., Zirpoli, G. R., Hutson, A. D., McCann, W. E., McCann, S. E., Barlow, W. E., ... & Albain, K. S. (2020). Dietary supplement use during chemotherapy and survival outcomes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enrolled in a cooperative group clinical trial (SWOG S0221).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8(8), 804.
- Arnaout, A., Robertson, S., Pond, G. R., Vieth, R., Jeong, A., Hilton, J., ... & Clemons, M. (2019). Randomized window of opportunity trial evaluating high-dose vitamin D in breast cancer patients.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178, 347-356.
- Cruz-Pierard, S. M., Nestares, T., & Amaro-Gahete, F. J. (2022). Vitamin D and Calcium as Key Potential Factors Related to Colorectal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Nutrients, 14(22), 4934.
- Kanellopoulou, A., Riza, E., Samoli, E., & Benetou, V. (2021). Dietary supplement use after cancer diagnosis in relation to total mortality, cancer mortality and recurren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trition and cancer, 73(1), 16-30.
- Maalmi, H., Walter, V., Jansen, L., Boakye, D., Schöttker, B., Hoffmeister, M., & Brenner, H. (2018). Association between blood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survival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trients, 10(7), 896.
- Park, S. H., Hoang, T., & Kim, J. (2021). Dietary factors and breast cancer prognosi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Cancers, 13(21), 5329.
- Skiba, M. B., Kohler, L. N., Crane, T. E., Jacobs, E. T., Shadyab, A. H., Kato, I., ... & Thomson, C. A. (2019). The association between prebiotic fiber supplement use and colorectal cancer risk and mortality in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28(11), 1884-1890.
- Song, M., Wu, K., Meyerhardt, J. A., Ogino, S., Wang, M., Fuchs, C. S., ... & Chan, A. T. (2018). Fiber intake and survival after colorectal cancer diagnosis. JAMA oncology, 4(1), 71-79.
- van Gorkom, G. N., Lookermans, E. L., Van Elssen, C. H., & Bos, G. M. (2019). The effect of vitamin C (ascorbic acid)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Nutrients, 11(5), 977.
- Van de Roovaart, H. J., Stevens, M. M., Goodridge, A. E., Baden, K. R., Sibbitt, B. G., Delaney, E., ... & Chen, A. M. (2023). Safety and efficacy of vitamin B in cancer treatm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Oncology Pharmacy Practice, 10781552231178686.
- Zhang, Y., Fang, F., Tang, J., Jia, L., Feng, Y., Xu, P., & Faramand, A. (2019).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mortalit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