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암수술후.임파로 전이가됐데요 어떻게치료해야할거요안타까워요.얼마나더살수있을까요 절실합니다잘알려주세요
수술 후 (임파선) 소견을 들으셨군요. 얼마나 힘든 시간이실지요. 앞으로 질문자님의 치료 여정에 저희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그럼, 림프절로 전이된 폐암의 , 치료 방법 및 생존율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폐암의 병기에 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폐암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비소세포암의 경우 림프절 전이가 있을 시 2B기 이상으로 병기가 구분됩니다. 3기의 경우 의 크기 및 림프절 전이 양상에 따라 3A기, 3B기, 3C기로 나뉘며, 다른 장기로 전이가 있는 경우 4기에 해당합니다.
image
*이미지 출처: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소책자 자료
치료 방법은 위의 폐암 병기에 따라, 그리고 환자 개개인의 전신 상태와 치료 적응도에 따라서 어떤 치료 방법을 선택하고, 또 조합하는지가 달라집니다. 병기에 따른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생존율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암 환자의 생존율을 볼 때는 흔히 ‘5년 상대 ’ 이라는 것을 확인합니다. 이것은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해당 암 환자가 5년 동안 생존할 확률을 말합니다. 2022년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암이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5년 상대 생존율은 76.7%, 암이 발생한 장기 외 주위 장기, 인접 조직 또는 림프절을 침범한 국소 의 경우 5년 상대 생존율은 46.8%, 암이 발생한 장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에 전이된 원격 전이의 경우 5년 상대 생존율은 11.5%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폐암에 대한 진단 및 치료는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새로운 표적 치료, 면역항암요법이 개발되고 있고 이에 따라 폐암의 5년 생존율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치료에 대한 의지와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담당 의사선생님의 치료 계획을 잘 따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폐암의 병기, 치료 및 발생율] 과 관련한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의 자료가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질문자님의 현재 상황 및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 일반적인 정보를 전달해 드린 점 양해 부탁드리며, 루닛케어의 답변이 질문자님의 걱정과 고민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