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료들을 검색해보면 유방암 항암여부를 결정할 때 폐경여부도 고려한다고 하는데요. 항암여부 결정에 폐경여부가 어떤 관련이 있는지, 폐경후면 항암을 할 확율이 높은지, 낮은지, 특정 암 타입의 경우에만 (예를 들어 호르몬양성) 고려되는 것인지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폐경 여부와 치료의 연관성에 대해 문의해 주셨는데요, 항암 치료 계획은 폐경의 여부보다는 의 정도, 암세포의 타입, 및 의 위험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더불어 구체적인 약제 선택을 위해 연령, 폐경 여부, 증상 및 건강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유방암 약물 치료에 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유방암의 약물치료는 크게 다음의 4가지로 구분합니다.
이 중, 폐경 여부 및 여성호르몬과 관련이 있는 약물치료는 항호르몬제입니다. 호르몬 양성과 음성 여부는 폐경 전인지 후인지에 따라 결정하지 않고, 떼어낸 암세포 조직을 분석하여 호르몬 양성 또는 음성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호르몬 수용체가 양성이면 호르몬을 차단하는 항호르몬제 치료를 합니다. 이때, 적절한 약제 선택을 위해 기준으로 삼는 것이 바로 폐경 전/후 여부입니다.
결과적으로 폐경 여부는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의 항호르몬제 선택에 있어 기준이 되며, 유방암의 계획 여부는 암세포와 병기, 환자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추가로 항호르몬제를 제외하고 유방암 호르몬 양성 환자에게만 사용할 수 있는 표적치료제 일종의 약제로는 아피니토, , , 버제니오 등이 있으며 항호르몬제와 함께 사용합니다. 더불어 루닛케어 라이브러리로 이동하시면 유방암의 항암 치료에 대한 더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의 항암치료 확인하기 이동]
질문자님의 상황을 상세하게 알 수 없어 일반적인 정보로 제공해 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