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종암 충북대학병원에서2024년1월19일육종으로판명되었는데 연세도있고 수술도못하고 방사선치료도 못한다하여 마약성진통제 약만 복용하고계십니다 어깨등쪽인데 부기가 점점커지고있는데 서울로올라가수술을 하는것이좋을지 그냥지켜보아야할지 마음이혼란스럽네요
저희 루닛케어는 5대(, , , , )에 대한 암종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외 기타 에 대해 자세한 답변 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은 뼈를 포함하여, 지방조직과 근육조직 등 근골격계에 발생하는 악성 을 말하고 종류로는 과 발생부위에 따라 수십가지의 연부조직 육종을 포함합니다.
뼈에서 발생되는 골육종은 뼈에서 처음 암세포가 자라는 것으로 모든 뼈에 발생 가능하나 주로 무릎관절이나 어깨 부위 상완골 윗부분 같은 긴 뼈에 잘 생기고 이 있는 곳이 아프거나 붓는 것이 흔한 증상입니다. 연부조직 육종은 주로 지방, 근육이나 지방조직 등 뼈이외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악성 종양 부위가 아주 커져서 옆을 지나는 신경이나 혈관을 누르기 전까지는 같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흔합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육종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 방사선 치료 등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치료는 수술로써 종양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을 선택할 때는 암이 다른 장기로 퍼져있는지( 유무), 암의 조직검사에서 악성도가 어느 정도인지, 암이 발생한 부위, 환자의 나이와 전신적인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환자분께서 현재 육종에 대한 치료계획 없이 통증관리로 만 복용중이신데요. 육종(sarcoma)의 경우, 아직까지 장기(간, 위, 페 등)에 발생하는 암종(carcinoma)와는 다르게 사례가 적어 관련한 치료법과 연구들이 암종에 비해 많지 않고 진단이 어렵우며 치료방법이 다양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육종의 치료방법은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에 따라 어느 정도 표준화되어 정해져 있지만 개별 기관 및 전문 의료진의 경험적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중심의 다학제 협진이 활발하게 중에 있고 다양한 수술 방법과 적용으로 이전에 비해 나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육종 치료와 관련된 혈액종양내과, 정형외과, 방사선과, 병리과 등 다른 분야와의 긴밀한 협진이 가능하고 사례를 많이 다루어 본 의료기관(예:상급종합병원, 국립암센터 등) 진료를 통해 의견을 받아 보시는 것도 고려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이때, 기존의 병원에서 시행했었던 각종 검사 결과지 및 소견서 등을 미리 준비해 가시면 환자분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일반적인 내용에 대해 답변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