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가 위암 수술후 최종기수 2-A 받으셨는데 2-A면 위암초기쪽에속하나요?
아버지의 소식으로 많이 놀라고 걱정되셨을텐데, 위암 수술을 마치신 아버님과 곁에 함께 계셨을 질문자님께 고생 많으셨다는 말씀을 드리고싶습니다.
수술 후 진단받은 의 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문의하신 위암의 병기 2A는 위벽을 침범한 깊이가 근육층까지 조금 깊거나 위벽 침범이 얕아도 위 주변 일부에 가 존재하는 상황으로, 상대적으로 이 안 된 상태입니다.
질문자님께서 이를 이해하기 수월하시도록 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두 가지 관련 개념인 병기 분류와 병기 결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암 병기 분류와 병기 결정은 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는 암의 치료 계획을 세우고, 를 예측하는데 필요한 결정적인 기준을 제공합니다.
위암의 병기 분류는 1기~4기까지가 있으며, 숫자가 클수록 암이 더 많이 진행된 것을 의미합니다. 각 병기는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됩니다. 예를 들어, 1기는 다시 1A와 1B로 나뉩니다. 질문자님의 아버지 병기인 2A 에서 ‘A’는 위암의 병기를 더욱 세분화하여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 암의 침범 정도와 림프절 전이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위암의 병기 결정은 암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암의 크기와 위치(T), 림프절 전이 여부(N), 다른 장기로 전이 여부(M)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체계는 TNM 분류입니다.
TNM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병기 결정의 목적은 적절한 치료 계획을 결정하고 환자의 예후( 및 진행 가능성)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정확한 TNM 병기나 림프절 전이 범위, 환자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치료 예후가 달라질 수 있지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2A 병기는 상대적으로 진행이 안된 상태로 치료 시 좋은 성적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해외 공신력 있는 기관 조사 결과 미국,영국과 같은 외국에서는 위암 2A기 환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을 60% 정도로 보고되고 있지만, 동아시아 지역의 치료 성적은 훨씬 좋아 생존율 85% 까지 보고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질문자님 아버지의 경우 위암 초기에 속하는 상황으로 수술 후 항암 치료를 받는다면 더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개별 환자의 예후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담당 의사선생님과의 상담을 통해 개인의 예후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를 얻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앞으로 치료 과정이 어려울 수 있지만, 담당 의사선생님의 전문적인 경험과 질문자님을 포함한 가족의 지지가 함께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아버지의 건강 회복을 기원합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