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4기환자입니다 수술후 항암치료중 덤핑증후군이 심합니다 어떻게 케어를 해야하는지요
은 을 시행한 대부분의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다량의 위 내용물이 위절제술로 인해 정상적인 소화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급격히 소장으로 이동하며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덤핑 중후군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매일의 식습관 및 생활습관 관리, 약물 요법 그리고 수술적 방법 등이 있습니다.
다음은 각 방법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매일의 식습관 및 생활습관
위절제술을 시행한 후 과식을 하거나 식사를 빨리 하는 경우, 너무 짜거나 단 음식 등을 과다 섭취하는 경우, 식사 중에 국물이나 물을 많이 먹는 경우에 특히 잘 발생하므로 식사 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덤핑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식습관 및 생활습관 들 입니다.
* 소량씩 자주 먹기- 간식을 포함하여 하루 5~6회로 소량씩 자주, 천천히 먹고 충분히 씹으면서 식사하기.
* 당류, 복합 탄수화물, 유제품 피하기- 과자, 사탕, 빵 등과 같은 당류 및 복합 탄수화물, 우유, 요거트 등의 유제품을 피하기:혈당 변동과 장운동 방지하기.
* 단백질과 건강한 지방 섭취 높이기- 생선, 올리브유, 견과류 등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를 늘리기
: 지방은 소화를 느리게 하고 더 안정된 형태의 에너지를 제공, 단 튀김, 볶은 음식과 같이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위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주의하기.
2. 약물
식습관 및 생활습관 변화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당류 흡수를 낮추는 약물을 복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다만, 약물은 반드시 담당 의사 선생님과 충분히 상의하시고 현재 건강상태를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덤핑증후군 증상 완화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약물 성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옥트레오티드 아세트산(Octreotide acetate): 소화 과정에서 나오는 특정 호르몬을 억제하여 위에서의 배출과 소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늦추고 인슐린을 억제합니다.
* 아카보즈(Arcabose): 탄수화물의 흡수 속도를 늦춰 혈당을 조절합니다. 이러한 원리로 덤핑 증후군의 저혈당 증상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수술
덤핑 증후군에 대해 수술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증상 발생 원인이 이전의 수술인 경우, 더 이상의 방법이 없지만 증상이 심각하여 삶의 질이 극심하게 저하되는 경우 수술적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덤핑증후군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들 중 질문자님께서 손쉽게 시행해 볼 수 있는 매일의 식습관과 생활습관들에 대해 먼저 살펴보시고 덤핑증후군 증상을 악화시키는 습관들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일상생활 습관의 변화로도 덤핑 증후군의 증상이 많이 호전될 수 있으므로 매일 식습관과 생활습관에 대한 일지를 작성해보시면서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만약 일상생활에서 식습관을 적절하게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증상 조절이 힘드시다면 질문자님의 건강상태와 치료상황을 가장 잘 알고 계신 담당 의사선생님과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조치를 받으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