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수용체 양성인 유방암환자는 성관계시 호르몬때문에 안좋을수 있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의 , 항호르몬요법 등의 치료 기간의 성관계는 금기사항이 아니며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의 경우라도 특별히 성관계가 제한되지 않습니다. 또한 질문자님께서 문의하신 성관계시의 호르몬이 유방암에 나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내용은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의 경우 항호르몬요법 치료를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치료는 이 자라는 데 필요한 호르몬을 차단합니다. 예를 들어, 제제인 은 혈액을 통해 들어가는 모든 을 방해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성관계 시에는 여성 호르몬과 옥시토신, 세로토닌, 엔돌핀 등 다양한 호르몬의 조절에 의한 반응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성관계 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 등의 여성 호르몬이 유방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이기 때문에 성관계를 하면 안되는 것보다는, 오히려 유방암 치료과정에서 사용하는 항암화학요법이나 항호르몬제로 인해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 알고 적절히 대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항암화학요법과 항호르몬요법 치료기간 중 안전한 성생활을 위해 알면 도움이 되는 주의사항들입니다. 참고하셔서 암치료여정에서 안전하고 건강한 성생활을 영위하시면 좋겠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