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감사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질문이 있는데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인데 아직 치료 전입니다. 그래도 성관계가 괜찮을까요? 치료전인데 성관계한것이 걱정되어 문의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성관계가 의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유방암은 호르몬 수준, 유전적 요인, 생활 습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성관계 자체가 유방암의 진행이나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과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보통 성호르몬에 의해 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때 호르몬 의존성이 있다고 하는데요, 수치가 정상보다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거나,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는 경우, 비만이나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 있는 경우, 임신 중에 합성 에스트로겐으로 알려진 (des)에 다량으로 노출된 경우 등에서 호르몬 의존성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좀 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성관계로 인해 호르몬 의존성 암이 발생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관계 중에 에스트로겐과 을 포함한 호르몬 수치에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변동이 유방암 위험이나 치료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만큼 크지 않으므로 염려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치료를 앞두고 있으신 상황에서는 치료 계획, 가능한 , 일상생활에서의 주의 사항 등에 궁금하신 점이 많으실텐데요, 이에 대해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세히 상의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과 관련된 우려나 질문도 의료진에게 솔직하게 상담을 요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진은 질문자님의 상태와 치료 계획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상황에 맞는 가장 적절한 조언과 필요 시 지원을 받으실 수 있는 여러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진단을 받아 마음이 많이 무겁고 걱정되는 점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질문자님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고민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앞으로의 치료의 여정 속에서도 루닛케어가 질문자님과 함께하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