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두 병원의 다른 유방암 검사 결과,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2024.03.29.

면역화학검사 결과가 상이합니다. 첫번째 병원에서 호르몬양성 allred ER 5 PR3 (강양성은 아닌데 그렇다고 완전 약양성도 아닌듯하네요) 허투음성, 두번째 병원에서 삼중음성 진단입니다. 과연 어떤 아형이 맞는걸까요 현재는 AC로 선항암중입니다. 수술 후 조직검사를 해야 정확히 알 수 있을까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검사결과
#세포/조직검사
#치료계획

두 병원에서의 검사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 당황스럽고 걱정이 되셨을 것 같습니다. 질문자님께서 경험하신 것처럼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병원의 검사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선 두 병원에서 같은 검체로 검사가 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약 다른 검체로 검사가 진행되었다면 같은 이라도 부위에 따른 세포 아형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면역화학 검사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같은 검체로 검사했다고 하더라도 검사 방식이나 검사 기기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다른 기준값에 의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어서 진행하신 검사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알고 계신 바와 같이 ER과 PR은 Allred 점수(0~8점)를 통해 양성 또는 음성으로 분류됩니다. 0~2점은 음성, 3점 이상은 양성으로 구분되며 양성 중에서도 약양성과 강양성의 기준은 다양한 연구에서도 조금씩 다르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호르몬 수용체 약양성의 기준을 3점~4점으로, 또 다른 연구에서는 3점~5점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ER 5점은 말씀 주신 것과 같이 견해에 따라 약약성 또는 강양성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현재 사용하고 계시는 AC는 허투 음성 유방암에 선행화학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임을 알려드립니다.

 

 

면역화학검사는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을 가장 잘 알고 계시는 담당 의사선생님께 질문자님의 아형에 대해서 한번 더 논의해 보실 것을 권유 드리며, 앞으로의 치료 계획에 대해서도 자세한 설명을 들어보실 것을 추천 드립니다. 또한 가장 확실하게 질문자님의 아형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질문자님께서 말씀 주신대로 수술 후 최종 조직검사 결과 판독을 받아서 확인하는 것입니다.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유방암의 최종 아형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