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빠르고 친절한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AC 선항암 중이고 3차 하고 초음파 확인을 하였습니다. 우선 촉진시 크기도 줄고 많이 말랑해졌고 납작해진거 같아요. 임산부라서 초음파로만 확인을 하였고, 첫 진단시에 보이지 않았던 회색으로 옅어진 음영이 많아졌고 가운데 아주 동그란 타원형의 검은 음영이 생겼어요. 판독지에는 cystic change 가 생겼다고 적혀있구요. 이 변화는 긍정적 시그널인지 아니면 부정적 시그널인지 궁금합니다. 물혹? 암세포가 죽으면서 생긴 빈공간에 물혹이 생긴걸까요? 겨드랑이 림프절은 첫 진단시는 fatty hilum일부 소실된 L.N 가 있다. 에서 이번 판독지에는 기존에 있던게 크기가 작아지고 , 지금은 hilar structure가 유지되고 있다. 라고 적혀있는데 이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현재 선행 중에 치료반응을 평가하기위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치료전과 비교해 조직의 변화가 확인되었고 이러한 변화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실텐데요,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순차적으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치료전에 비해 촉진시 크기가 줄고 말랑해지고 납작해진 변화는 선행항암화학요법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또한 초음파 상에서 확인된 보이지 않았던 회색으로 옅어진 음영, 가운데 동그란 타원형의 검은 음영, cystic change, 그리고 의 변화는 다음과 같은 의미일 수 있습니다.
다음은 림프절 변화에 대한 내용으로 결과지에 있는 L.N은 Lymph node (림프절)을 말하는 것이며, fatty hilum(지방성 힐룸)은 림프절 내부에서 볼 수 있는 구조 중 하나이며 이는 림프절의 혈관과 림프관이 들어오고 나가는 지점에서 지방이 축적된 부분을 가리킵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질문자님의 초음파 검사에서 보이는 소견들이 보통의 경우는 긍정적인 변화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염증성 변화나 그외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만약 급작스러운 , 유두 분비물의 변화, 피부 당김, 피부 변화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선행항암화학요법은 치료를 모두 마친 후 암조직이 얼마나 작아졌는지, 항암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영상의학적 검사를 시행합니다. 그러나 에 따라 선행항암화학요법 치료 중에 반응평가를 위해 영상의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추가 투여를 결정하기도 하며 항암치료에 대한 반응여부에 따라 이후 치료계획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검사소견을 보았을때, 대체로 암 조직들이 선행항암치료에 대한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라고 해석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해석은 반드시 전문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과 상담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다음 진료를 위한 병원 방문시 이러한 변화들에 대해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시고, 충분한 설명과 정보를 받으시고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Jiong Yan, Peixing Wan, Swati Choksi, Zheng-Gang Liu. Necroptosis and tumor progression. :https://doi.org/10.1016/j.trecan.2021.09.003
https://www.cochranelibrary.com/cdsr/doi/10.1002/14651858.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