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Q. 일주일째 혈변, 대장내시경 받아야 하나요?

2024.04.22.

일주일째 혈변과 점액변을 보고 있습니다. 오늘 직장 내시경 촬영시 치질소견에 의한 혈변의 영향이 적을 것 같다며 피가 고여있기도 해서 대장내시경을 권유 받았습니다. 큰 병일까 싶어 걱정인데 의사의 설명이 너무 딱딱해 걱정만 키우고 있습니다. 대장암 혹은 그외에 어떤 질환일때 이런 증상이 있을 수 있나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검사
#증상
#검사
#내시경검사
#대장
#소화불량
#감염
#염증
#직장

지속적인 혈변과 으로 인해 걱정하시는 마음 저희도 공감합니다. 혈변과 점액변은 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의하신 혈변과 점액변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염증에 의한 장 질환 :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알레르기성 대장염, , 허혈성 장염, 항문, 항문 농양  등 
  • 감염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
  • 과민성 대장증후군
  • 항문 질환 :치질, 치열, 
  • 직장 질환: 직장 탈출증, 용종, , 손상
  • 기타: 생활환경의 변화, 새로운 약복용, 식중독  등
  • 대장암

혈변과 점액변의 원인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장 혹은 대장 내시경을 시행하게 되는데요, 질문자님의 경우,  이미 직장내시경을 통해 직장 내부를 확인하시고 치질의 가능성은 적다는 소견과 함께 피가 고여있다는 설명을 들으셨기에 직장보다 위쪽 부위인  결장과 다른 상부 장에서의 출혈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을 권유받으신 것으로 보여집니다.  

소화기계는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으로 연결되어있으며 식도를 거쳐 위에서 소화된 음식들이 장을 통과하면서 대변을 형성합니다. 대변에서 혈액이 확인된다면 어느 부위에서 출혈이 되고 있는 것인지 확인을 해야하며 혈변의 양상으로도 대략의 위치를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병원 진료 전 혈변의 빈도, 색깔과 출혈양은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시고 최근 일상생활에서 변화된 부분(약복용, 여행, , 체중변화 등)을 정리해가시면 병원진료시 의사선생님께서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출혈이 지속되다 멈추더라도 출혈의 원인에 대한 확인은 꼭 필요합니다. 으로 인한 출혈의 경우, 한동안 출혈이 발생하고 멈추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변에서 보이는 혈액의 색깔이 선명한 경우, 장의 하부나 직장에서의 출혈일 가능성이 있으며, 어두운 색일 경우는 조금 더 위쪽 상부 장에서의 출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검은색이나 흑갈색인 경우라면 위나 소장에서의 출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참고로 만약 다음의 증상들이 동반되신다면, 대장암의 가능성도 고려하셔야 하므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배변 습관의 변화: 갑자기 변을 보기 힘들어지거나 변 보는 횟수가 바뀌는 등 설사, 변비 또는 배변 후 변이 남은 듯 무지근한 느낌이 있는 경우
  • 예전보다 가늘어진 변
  • 복부 불편감:복통, 복부 팽만
  • 체중이나 근력의 갑작스런 감소
  • 피로감
  • 식욕 부진, 소화 불량,
  • 복부에서 종물 즉 덩어리 같은 것이 만져지는 경우

현재의 지속적인 혈변과 점액변으로 걱정스런 마음이 크시리라 생각됩니다. 가까운 일반내과, 혹은 소화기 내과나 대장항문내과에서 좀더 자세히 질문자님의 상태를 확인하실 수 있으므로 주저하지 마시고 방문하셔서 현재의 증상에 대해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