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매번 감사합니다^^ 호르몬양성 허투음성 2기a, 2.4cm, 림프전이 없습니다. 지금 항암중인데요. 질문) 항암제 중에 AC 또는 TC는 어떤기준으로 선택하는건가요?
환자에게서 를 결정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하셨군요. 은 의 특성, 환자의 전신 상태, 약물에 대한 및 효과, 의료급여 적용 여부 등의 여러 요소를 진료 의사가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치료에 대한 표준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하는 NCCN 가이드 라인에서는 유방암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HER-2 수용체 발현 여부에 따라 효과, 부작용, 항암 주기를 고려하여 “선호 요법”과 “그 외 요법”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해당 가이드 라인에 따르면 HER-2 음성의 경우 AC 요법을 종료한 후 탁센(Taxen) 계열인 (Paclitaxel)혹은 (Docetaxel)을 추가로 시행하는 AC-T와 TC가 선호 요법에 속합니다. 그 중 TC 요법은 조기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사용될 수 있도록 보험급여 기준이 확대되면서 미국 NCCN 가이드 라인과 한국유방암학회 권고안에서 강력하게 권장되는 요법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심장 독성의 위험성이 따를 환자에게 AC 요법 대신 TC 요법을 권유하기도 하며, 치료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어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TC 요법을 시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최근 공신력 있는 연구에 따르면 초기 유방암 환자에게 TC 요법이 AC 요법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항암화학요법 결정에 있어서 이해를 돕기 위해 AC, AC-T, TC요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AC 요법: 흔히 빨간약이라 불리는 약인 (Adriamycin)과 (Cyclophosphamide)를 사용하는 요법으로, 3주 간격으로 4회 동안 투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은 암세포의 복제를 방해하여 사멸시키는 기전을 가지고 있어 유방암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부작용으로 탈모, 울렁증, 부작용, 억제가 나타날 수 있고 심장 독성이 있어 심근 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는 DNA, RNA 합성을 저해하여 암세포가 증식하지 못하게 하지만 , 식욕 부진, , 탈모, 출혈성 방광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종양의 상태를 고려하여 방지를 위한 강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AC 요법을 종료한 후 탁센(Taxen) 계열인 파클리탁셀(Paclitaxel) 혹은 도세탁셀(Docetaxel)을 추가로 시행하는 요법입니다. 이때 탁센(Taxen) 계열의 약물은 환자의 신체 상태나, 부작용 위험도에 따라 3주에 1번 고농도로 투약하거나 1주마다 1회씩 12주 맞는 방법으로 나뉘게 됩니다. 파클리탁셀(Paclitaxel)은 세포분열을 억제하며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부작용으로 사지 말단의 감각 이상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말초신경병증이 나타날 수 있고 운동장애나 자율신경병증, 관절통, 근육통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TC 요법: 탁센(Taxen) 계열 중 도세탁셀(Docetaxel)에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를 병용하여 사용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2015년 보험급여 기준이 확대되면서 수술이 가능한 조기 유방암 환자에게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의 사용이 확대되었습니다. 도세탁셀(Docetaxel)은 파클리탁셀(Paclitaxel)과 유사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체액 저류의 빈도는 파클리탁셀(Paclitaxel) 높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유방암의 항암화학요법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치료 방법은 종양의 상태와 함께 환자의 나이, 건강 상태 부작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담당 의사 선생님께도 충분한 설명을 들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