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Q. 직장암 수술 후 근력운동과 케겔운동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2024.04.28.

직장암 수술 후 암 재발 방지 관리 방법에 대한 답변 내용에 대해 추가 문의사항이 있습니다. 규칙적인 근력운동도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혹시 케겔운동도 도움이 될까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운동/신체활동
#생활습관
#추적관찰
#검진
#재발
#정서적돌봄

 

케겔운동이 방지에 도움이 되는지 궁금하시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케겔운동은 특히 직장암 수술 후 , 변실금과 같은 증상 완화, 골반 기능 장애가 있는 매우 유용합니다. 

 

한편, 케겔운동이 직장암 수술 후 증상 관리에 효과적일 수 있지만 자체의 재발을 직접적으로 예방한다고 하기에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체계적 문헌 고찰에 따르면, 케겔운동은 골반저 근육을 강화하여 직장암 수술 후 환자들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요실금, 대변 제어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기적으로 케겔운동함으로써, 환자들은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케겔운동만으로는 암을 예방할 정도의 운동 강도와 시간을 만족하기 어렵습니다.

 

이전 질문에서 답변드렸듯이, 정기적인 추적검사와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이 암 재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규칙적인 운동의 경우,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운동의 횟수와 강도는 주 4~5회 하루 30~40분씩 숨이 가빠지는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과 주 2회 이상 근력운동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근력운동은 일반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아령운동 및 체중 부하운동을 일컫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환자에게 웨이트 트레이닝, 아령운동 및 체중 부하운동을 주 2-3회, 너무 무리가 되지 않는 부하로 한 동작에 8~12회 정도 실시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유연성 운동을 적절하게 실시하고 케겔 운동을 유연성 운동 중 하나로 포함시켜 효과를 극대화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시어 운동 계획을 만들어보시면 좋겠습니다. 가능하다면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여 자신에게 맞는 강도와 유형의 운동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운동 중 또는 운동 후에 불편함이나 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운동을 중단하시길 바랍니다.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 매주 최소 150분(주 4~5회, 하루 40~40분)의 중등도 유산소 운동(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등) 또는 75분의 고강도 유산소 운동(조깅, 수영 등).
  • 근력 운동 : 주 2-3회, 한 동작에 8~12회의 웨이트 트레이닝, 아령운동 및 체중 부하운동. 국가암정보센터에서는 암 생존자를 위해 다양한 근력 운동 동작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 유연성 운동 : 케겔 운동, 스트레칭과 같은 유연성 운동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