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호르몬제를 먹으면 유방암이 잘 발생할수있나요
여성호르몬제의 복용이 을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이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른 초경, 늦은 첫 출산,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 폐경 후 장기적인 호르몬 치료를 하는 경우 등과 같이 여성 호르몬에 오래 노출된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도가 커집니다.
여성호르몬제를 복용 또는 호르몬 치료를 하는 경우 치료 기간, 약제의 종류, 복용시작 연령 등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집니다.
유방암 위험도를 높이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반면, 에스트로겐 단독 호르몬제는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저용량의 에스트로겐 크림 등과 같은 국소적으로 적용하는 호르몬제의 경우 유방암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또한, 호르몬 피임약 또는 환경 내 화학물질은 유방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관성이 아직은 명확하지 않아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입니다.
하지만, 유방암이 아니더라도 , 등 여성 호르몬과 관련 있는 다른 종류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방암 예방 차원에서 여성호르몬제의 무분별한 사용은 피해야 하며, 호르몬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적어도 1년에 한 번 이상 자궁내막암, 난소암 및 유방암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유방암의 위험 요인으로는 과체중, 운동 부족, 흡연, 등이 있습니다. 유방암 위험 요인을 피하면 암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