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감사합니다 아래 질문에 추가해서 혹시 뼈 골절시도 ca15-3 이 상승할까요? 그런 보고가 있는지요? 팔꿈치 요골뼈 미세골절로 깁스중이라 (수술한건 아니고 단순골절) 혹시나 해서 다시 여쭤봅니다 21년 3월 유방암으로 전절제 수술했고 항암 tchp로 6차 했어요. 정기검진중 ca15-3 수치가 계속 증가해서 문의드립니다. 21년 3월 5.7 수술 항암직후 21. 9월 11.7 22년 두번검사 5.2 / 5.0 23년 두번 4.5 / 6.3 24년 5월 10.7 수치가 정상범위이지만 두배가까이 상승했습니다. 전이 가능성이 있는건가요? 제 수치는 대략 5전후가 제 원래 볼륨인거 같은데 항암때는 제외하고 지금 두배네요 ㅜㅜ 폐 유방 뼈 검사는 이번에 했는데 정상이고 다만 간검사는 이번에 안해서 모릅니다. 너무 불안하네요.
팔꿈치 골절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으셨을 텐데요, 수치 변화에 대해 추가로 질문해 주신 부분과 함께 깁스하고 계신 상황에서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CA 15-3은 주로 환자에서 로 사용되는 단백질이지만, 이전 답변에서 말씀드렸듯 유방암 이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단순 골절 환자에서 뚜렷한 CA 15-3 수치 상승에 대한 보고는 흔치 않았으며, 해당 수치는 골절과 같은 단순 외상에 의해 상승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골절이 다음과 같은 이유로 CA 15-3 수치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염증 반응: 골절 시 발생하는 염증 반응이 간접적으로 CA 15-3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체내 여러 의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치료 과정: 골절로 인해 추가적인 치료나 약물 복용(예: 항염증제, 등)은 간접적으로 CA 15-3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신체 스트레스: 골절로 인해 신체가 받는 스트레스는 종양표지자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더불어 팔꿈치 미세골절로 깁스를 하고 계신 상황에서 도움이 될 몇 가지 지침을 안내해 드립니다.
안정 유지 및 움직임 제한: 깁스를 한 부위는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안정 상태를 유지하세요. 팔을 심장보다 높게 두어 부기를 줄이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합니다.
적절한 휴식: 충분한 휴식을 취해 몸이 스스로 치유될 시간을 주세요. 팔을 높은 위치에 두어 부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영양 관리: 칼슘과 비타민 D가 풍부한 음식(우유, 치즈, 시금치, 연어 등)을 섭취하세요. 또한, 고기, 생선, 계란, 콩, 견과류 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드세요.
약물 관리: 이 있으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와 항염증제를 복용하세요. 약물 복용 시 에 유의하세요.
피부 관리: 깁스 내부의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가려움증이 있을 경우 긁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부기, 열감, 악취 등이 발생하면 즉시 담당 의사 선생님께 알려주세요.
운동 및 재활: 팔꿈치를 제외한 손가락과 어깨를 가볍게 움직여 관절 경직을 방지하세요. 깁스가 제거된 후에는 담당 의사선생님이나 물리치료사의 지시에 따라 재활 운동을 시작해 주세요.
정기적인 검사: 정기적으로 담당 의사 선생님을 방문하여 깁스 상태와 골절 치유 과정을 확인하세요. 검사와 진료 일정을 준수하여 최적의 치료를 받도록 하세요.
검사 결과를 받아보신 후 걱정이 많으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및 가능성을 보기 위해서 다른 검사 결과들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며, 좀 더 시간 간격을 두고 수치 변화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Duffy, M. J., Evoy, D., & McDermott, E. W. (2010). CA 15-3: uses and limitation as a biomarker for breast cancer. Clinica chimica acta, 411(23-24), 1869-1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