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Q. 양성 폴립 제거 후 다시 대장내시경을 받아야 할까요?

2024.06.19.

수면내시경으로 대장검사 후 양성 폴립을 하나 제거했습니다. 혹시 얼마 후에 다시 대장내시경을 받아보는 것이 좋을까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예방법
#생활습관
#식습관/식단
#추적관찰
#검진
#양성질환
#내시경검사
#대장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에 따라, 검사에서 용종()을 제거한 경우, 이후 검진 시기에 대한 권고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작은 용종 1~2개 제거한 경우: 만약 제거한 용종이 1cm보다 작고 1~2개 정도라면, 5년 후에 다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으면 됩니다.
  • 더 많은 용종 또는 큰 용종 제거한 경우: 만약 제거한 용종이 3개 이상이거나, 크기가 1cm 이상이거나, 위험성이 높은 용종이라면, 3년 후에 다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으면 됩니다.

 

만약, 검사 전 장을 완전히 비우지 못해 검사가 완벽하지 않거나 정확한 결과를 얻지 못한 경우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다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검사에서 이상이 없더라도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을 방문하시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는 40세 이상 성인이 실시하여 정상인 경우, 5~10년마다 한 번씩 검사받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장내시경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용종(폴립)의 크기, 개수, 모양, 병리학적 소견에 따라 담당 의사와 상의 후 추적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대장 용종(폴립)은 대장 내부로 돌출된 덩어리들을 의미합니다. 50세 이상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약 30~40% 정도의 확률로 용종이 발견됩니다. 이 중 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용종을 이라고 합니다. 선종이 발생한 후 5~10년이 지나면 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대장내시경을 통해 선종성 용종을 진단하고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용종을 제거하면 대장암 발생률이 70~90% 감소하며,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도 50%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장 용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곡물 및 채소 위주의 섬유소가 풍부한 식사 하기 
  • 육류의 기름이나 가금류의 껍질, 버터 등 포화지방이 많은 식품 섭취 줄이기 
  • 저지방, 고칼슘 유제품 섭취하기 
  • 적절한 체중 유지하기 
  • 금연, 금주하기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