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수용체 양성 유방암입니다 . Allred score 로 Er 5 PR 3 강양성은 아닙니다. 최근 조기유방암에 버제니오라는 약이 처방이 된다고 해서 찾아보니 세포주기를 조절해서 효능을 보인다 하는데 그런데 이 약은 삼중음성이나 허투 타입에서도 효과가 없다고 하는게 의아합니다. 세포는 모두 같은 분열과정을 거칠텐데요. 왜 CDK 4/6 억제제들은 호르몬양성에게 효과가 있는지 궁금하고 , 호르몬수용체가 강한 타입이 아닌 저같은 경우에도 효과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치료를 받으며 여러 궁금증과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아래에서 하나씩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Q1. CDK 4/6 억제제는 왜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 효과적인가?
CDK 4/6 억제제는 유방암 세포가 빠르게 자라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약물은 특히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 효과적입니다. 삼중음성 유방암이나 HER2 양성 유방암에서는 이 약물이 잘 듣지 않는데, 이는 이 들이 다른 방식으로 자라기 때문입니다. 삼중음성 유방암은 이나 같은 호르몬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이 호르몬을 막는 약이 효과가 없습니다. HER2 양성 유방암도 마찬가지로 다른 신호를 통해 자라기 때문에 CDK 4/6 억제제가 잘 듣지 않습니다.
또한,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일반적으로 약물의 작용 원리상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특정 질병에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임상 시험 데이터 부족, 위험, 또는 대체 치료 방법의 존재 등 다양한 이유로 각국의 규제 기관에서 사용을 승인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Q2. 호르몬 수용체 양성이 강하지 않은 경우에도 버제니오가 효과가 있을까?
Allred 스코어로 ER 5와 PR 3을 가진 경우, 호르몬 수용체 양성이긴 하지만 높은 수치로 강한 양성은 아닙니다. 이 경우에도 CDK 4/6 억제제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약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통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버제니오는 이미 된 임상시험에서 다양한 호르몬 수용체 발현 정도를 가진 환자들에게 효과를 입증한 바 있습니다.
다만, 효과의 정도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약물의 사용 여부는 의 특성과 다른 치료 옵션들을 고려하여 주치의가 결정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호르몬 수용체 양성이기는 하지만 강한 양성이 아니더라도, CDK 4/6 억제제가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