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지인의 유방암 검사와 추후 진단 예정에 대해 궁금해합니다.

2024.08.18.

제 지인인데 6월에 처음 유방암 검사와 방사선 검사 받으셨고 2주 뒤 입체정위생검 받으셨어요 그리고 다음 진료가 11월, 다음 방사선 검사가 12월에 잡혀있으신데 유방암이실까요? 제가 직접 지인께 여쭐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서요 나이는 40대 중반이시고 현재는 운동도 하시고 일도 하시고 활동 잘하십니다 외관으로 보기엔 아무 문제 없으신 거처럼 보여요 유방암이실 확률이 있다면 심각한 상황인건지... 안심해도 되는 건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검사
#증상
#정보찾기
#검사
#양성질환
#병기/TNM분류
#유방촬영술
#초음파검사
#세포/조직검사
#유방

지인분의 상황을 알기 어려운 점에서 많이 답답하실 것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현재 지인분은 검진에서 이상소견을 발견되어 그것이 인지, 혹은 다른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방에서 발견되는 (덩어리)은 암이 아닌 양성 이나 암이 아닌 조직의 변화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암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직검사를 시행하며, 지인분께서 유방암이라고 확정할 수는 없습니다. 받은 영상 검사들의 판독결과를 알지 못하므로 지인분이 유방암인지, 혹은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답변 드리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지인분의 진료 과정은 이상소견이 발견되었을 경우 암의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유방암의 존재를 확인하거나 배제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일반적으로 유방촬영술, 초음파와 같은 영상 검사를 통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악성(암)도 가능성이 2%를 초과하는 수준일 경우 조직검사가 권고됩니다. 입체정위은 지인분이 받은 영상 검사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영상에서 보이는 이상소견(석회화 또는 )이 확실한 양성 소견이 아닌 암의 가능성이 일부 존재하여 수행하는 검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검사가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유방암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양성 종양이거나 비암성 변화일 수도 있습니다. 

지인분이 유방암이실 확률을 정확히 말씀드리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유방 결절(덩어리)이 양성, 악성(유방암)일 확률에 대한 통계를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유방암 양성인 경우, 섬유 , 유관 , 섬유성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양성인 경우는 악성인 경우에 비해 매우 흔하며 유방에서 발견되는 덩어리의 60% ~ 80%가 양성이라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 유방암일 확률은 약 8%로 보고됩니다. 

암의 심각한 정도는 암이 조직검사에서 확정되면 추가로 받는 검사를 통해 파악하게 됩니다. 추가 영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암의 크기와 주변 조직이나 장기로 침범한 정도, 유방 이외 다른 장기에 암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정밀검사를 통해 암의 종류를 확인하여 평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검사로는 암의 심각성을 파악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유방암이 진행된 경우 일반적으로 피로나 , 체중 감소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지인분께서 운동도 하고 일상 생활에 문제가 없으시다면 급박한 상황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말씀드리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서울아산병원홈페이지

  • Perry MC. Breast Lump. In: Walker HK, Hall WD, Hurst JW, editors. Clinical Methods: The History, Phys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3rd edition. Boston: Butterworths; 1990. Chapter 170.

  • Stachs, A., Stubert, J., Reimer, T., & Hartmann, S. (2019). Benign Breast Disease in Women.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116(33-34), 565–574. 


 

링크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