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유방암 수술 후 겪는 액와막증후군 증상과 멍울이 걱정됩니다.

2024.08.28.

유방암 속전절제 하고 감시림프생검술로 감시림프3개 떼었고 전이없다 하였습니다. 수술전에 림프절 레벨1에 부어있는 림프절은 있었고 선항암을 하고 수술을 하였습니다. 이제 수술 후 6주 가량 되어가고 겨드랑이서부터 팔쪽 손목까지 액와막증후군 증상을 겪고 있습니다. 기타줄같은 선이 여럿 만져지며 스트레칭하다 툭 끊어지기도 합니다. 그렇게 어깨 가동범위도 좁아지고 하던 중에 겨드랑이 humeral lymph node 쪽에 락교 사이즈로멍울이 한개잡혔고 그위치로 두개 더 좁쌀만한 멍울도 느껴집니다. 초음파를 담주에 예약해두었는데 humeral 림프절에도 림프전이가 일어나는지 궁금하고 감시림프생검술 때 생기는 액와막증후군에서도 힘줄같은 줄 말고도 멍울도 잡히는 증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검사
#전이
#재발
#검사
#초음파검사
#수술
#림프
#유방
#합병증
#운동범위제한

 

수술 후 발생한 증상으로 인해 궁금한 점이 많으십니다. 루닛케어가 조금이나마 여정에 도움을 드렸으면 좋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며, 감시림프생검술에서 가 없던 상황에서 humeral 에 전이가 발생하는 것은 드문 일이며, 액와막증후군에 의해서도 멍울처럼 만져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초음파 검사와 담당 의사 선생님과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다음 질문들을 정리해 하나씩 답변 해드리겠습니다.

 

질문1. 유방암 수술 후 humeral 림프절에도 림프 전이가 발생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시 림프절이란 암세포가 첫번째로 도달하는 림프절을 말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암세포가 림프관을 통해 전이되려면 먼저 감시 림프절에 전이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감시 림프절을 절제하여 확인하면 림프절 전이 여부를 알 수 있으며 ,감시 림프절에 전이가 없으면 이와 연결된 다른 부위에도 암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만약 humeral 림프절에 만져지는 것이 림프 전이에 의한 것이라면, 이는 감시 림프절 결과가 음성이 나왔지만, 실제로는 생검 결과와 달리 감시 림프절에 전이가 존재하는 검사의 오류(위음성 결과, false negative)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문헌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지만 이러한 검사 오류가 발생하는 확률은 5% 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감시 림프절 생검 전에 염료 혹은 방사성 를 주입해 전이된 것으로 의심되는 림프절 위치를 탐색하게 됩니다. 이때, 암세포가 있는 림프절로 향하는 림프관이 암세포에 의해 막혀서 위음성 생검 결과가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게 있습니다.

 


질문2. 감시림프생검술과 관련된 액와막증후군에서 멍울을 느끼는 증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시 림프절 생검 후 액와막증후군은 드물지 않으며 말씀하셨듯이 주된 증상은 팔의 움직임 제한, 불편감입니다. 멍울이 느껴지는 것은 수술 한 조직의 정상 치유 과정에서 생긴 흉터 조직 때문에 발생한 감각일 수도 있으나, 림프 이나 다른 합병증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