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여성입니다. 십몇년전에 자궁을 들어내서 자궁은 없습니다. 요며칠전부터 팬티에 피가 묻어있습니다. 혈변은 아닌데 팬티를 확인해보면 피가 묻어 있는데, 암일까요?
자궁적출술을 하신 지 10년이 넘으셨군요. 최근에 속옷에 피가 묻어나서 많이 걱정되셨을 것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자궁적출술을 받으신 분에서 출혈이 나타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궁적출술 때 남아있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나 방광과 요도와 같은 비뇨기계 문제, 또는 항문이나 직장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과 관련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출혈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통해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혈의 원인과 어떤 검진이 필요한지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1. 자궁적출 후 발생할 수 있는 출혈의 원인
2. 출혈의 원인을 찾기 위한 검진 방법
출혈 부위와 원인을 찾기 위해 산부인과적 검사와 비뇨기과적 검사를 포함한 다양한 검진을 할 수 있습니다.\
1) 기본적인 검진
가장 먼저, 혈액 검사를 통해 일반적인 염증 수치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출혈이 자주 발생하거나 양이 많아지면 빈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혈액 검사는 중요한 초기 진단 도구입니다.
2) 영상 검사
필요에 따라서 초음파 검사나 CT,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내부 장기의 상태를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남아 있는 자궁경부 및 질, 난소, 방광, 요도, 직장 등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영상 검사는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영상 검사는 출혈이 어디서 발생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질경검사 및 요도경검사
출혈 부위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서는 질경검사나 요도경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를 통해 질 내벽이나 요도 내벽에 상처나 염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및 직장경
출혈이 직장이나 대장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때 대장내시경이나 직장경 검사를 통해, 대장 용종,염증성 장 질환, 암 등 출혈의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직장경은 직장 내부를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검사로, 항문 근처의 치질이나 , 직장 내 염증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호르몬 검사
50대 여성에게는 갱년기 이후 호르몬 변화가 출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호르몬 검사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에스트로겐 수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질 점막이 약해져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호르몬 변화와 관련된 검사는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설명드린 내용을 참고하시어,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빠른 시일 내에 의료진과 상담하고 필요한 검진을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그리고 의료진과 상담에 앞서 이번 증상이 나타났을 때, 통증은 없었는지, 열이나 오한 같은 증상은 없었는지, 최근에 이런 증상이 반복해서 나타났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여 진료 때 관련 내용을 의료진에게 알리면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