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유방암 수술 후 안 좋은 결과가 궁금합니다.

2024.10.10.

유방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안좋은 결과 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저번주 토요일에 유방암 수술을 했습니다. 유방암 2기였고 림프절 전이가 있어서 겨드랑이 쪽 림프절을 절제했다고 들었습니다.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를 들으러 갔는데 보호자와 함께와서 들으라고 하면서 검사 결과를 절대 안알려주더라고요. 보호자와 함께 들으라고 하니 대충 안좋은 결과가 나왔다는건 알겠는데 도대체 뭔일인지 궁금해서 잠이 안옵니다. 의사 입장에서 보호자가 있어야 알려줄만한 안좋은 결과의 사례나 예시를 좀 알고 싶습니다. 환자가 받는 정신적 충격이나, 주변에 안알릴 것을 대비해서 보호자 동반시키는거는 알겠습니다만, 대충 어느 정도 급인지 알아야 마음의 대비를 좀 하죠...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예후
#전이
#재발
#보호자
#정서적돌봄
#수술
#림프절
#유방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에 대해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을 정확하게 대변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조직검사 결과 상담 시 일반적으로 보호자 동반을 요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유방암 수술 후 조직검사를 시행한 경우 유방암의 최종 확정 종과 를 알 수 있게 되며, 앞으로의 추가적인 치료의 방향을 상의하게 됩니다. 검사결과에 대해 설명을 듣는 외래 방문 시,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가 환자에게 심리적 충격을 줄 수 있거나, 중요한 치료 계획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때, 암의 상태가 예상과 다르거나 심각할 때, 그리고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때 보호자의 동반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주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암의 진행 단계와 가 나쁜 유형 발견 : 이 크거나 주변 조직, 되었을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암으로 진단될 때 보호자 동반이 필요합니다.

2.추가적인 치료 필요 : 수술만으로 충분하지 않고 이나 방사선 치료 등의 추가 치료가 요구될 때 보호자의 동의가 중요하며, 치료 방법 선택에 있어서 복잡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3.재수술 필요성 : 수술 후 경계면에 암세포가 남아 있거나 전이가 발견되면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어 보호자의 동반이 요구됩니다.

4.유전적 검사 결과 : BRCA 유전자 변이와 같은 유전적 요인이 발견되면 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향후 관리 계획을 위한 보호자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암환자들은 통보를 받을 때 보호자가 옆에 있어주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으며 환자가 혼자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기 힘들거나, 중요한 정보를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자의 존재는 치료 과정에서 정서적 안정감과 필요한 협력을 제공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