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Q. 흡연자인데 기침이 자주 나와서 걱정됩니다.

2024.10.11.

24살 흡연자입니다. 3주에서 한달전부터 기침이 나오는데 초반에는 기침이 심해서 하루는 기침이 새벽에도 너무 나와서 잠에 두번 깼었습니다. 그래서 이빈후과가서 진료를 받았더니 의사 선생님 께서 그냥 감기 증상으로 넘기셨습니다. 약은 4일치만 처방해주셨구요. 약은 디뉴팬정 뮤코다인캡슐 코데닝정 디펜티딘정 처방해주셨고 3년전 군대있을때 흡연을 시작해ㅛ는데 그때 흡연한지 얼마안돼서 폐렴을 겪은적이있습니다. 얼마전 약을 처방받고는 하루에 5-6번 정도로 줄기는 했습니다. 근데 한번 기침이 나오면 10초이상 기침할때도 있을만큼 참을수없게 가려울만큼 기침을 하긴합니다. 기침할때 목젓도 자극이 올만큼 깊게 기침을 합니다. 하지만 초기만큼 엄청 심하게 하지는 않습니다. 흡연을 3년 가까이 하니까 걱정이 되어 글을 올립니다. 기침하면서 피가나온적은 한번도 없었고 평소에 일을 해가지고 무력감은 살짝 있는데 항상 일깨문에 피곤하기는 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기 살짝더 힘든거는 있습니다. 1년전에 겨드랑이 쪽에 몽울 잡히고 해서 신경쪽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봤는데 림프선쪽이 부어서 그렇다는 진단은 받았습니다. 그때 약먹으니깐 일주일안에 싹 사라지기는 했습니다. 그때이후로 한번도 비슷한 증상은 없었습니다.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검사
#생활습관
#흡연/금연
#검사
#의료비
#건강보험
#폐
#기침
#폐렴
#의사소통

기침이 계속되고 있어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의 경우 기침 증상이 개선되기 어렵고, 피가 섞인 가래, 호흡 곤란, 체중 감소, 흉통, 쉰 목소리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연령과 증상으로 보았을 때, 폐암의 가능성이 낮지만 증상이 계속된다면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여 검사를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기침에 대해 말씀드리면, 기침은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3주 미만), 아급성(3~8주), 만성(8주 이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침은 폐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이지만, 기침이 자주 발생한다면 폐나 기관지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현재 처방받은 약물로 기침이 일부 완화되었다면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증상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다면 추가 처방이나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질문자님처럼 흡연 이력과 과거 경력이 있다면 가까운 내과, 이비인후과, 또는 가정의학과를 방문해 검사를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기침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생활습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분 섭취: 충분한 물을 마시면 목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가래를 묽게 만들어 기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가습기 사용: 실내 공기를 가습하여 목의 건조함을 예방하고 기침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3. 온 찜질: 따뜻한 물에 적신 수건을 목에 대면 과 자극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꿀: 꿀은 자연적인 진정 효과가 있어 기침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뜻한 물이나 차에 섞어 마시면 좋습니다.
  5. 흡연 금지: 흡연은 기침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금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알레르기 유발물질 피하기: 먼지, 애완동물의 털,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상체 높이기: 자는 동안 상체를 높이면 기침이 덜 발생할 수 있습니다.
  8. 이러한 방법들을 함께 시도해 보시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흡연은 호흡기 을 자극하여 기침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입니다. 장기적으로 흡연은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과 같은 심각한 호흡기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폐암의 주요 원인이기도 합니다. 현재의 기침 증상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금연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금연 지원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으며, 의료기관 이용 시 국민건강보험의 지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활용 가능한 금연 지원 서비스입니다.

  1. 보건소 금연클리닉: 전국 각 지역 보건소에서는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금연 상담을 제공합니다. 필요한 경우 니코틴 를 지급합니다.
  2. 금연상담전화 (1544-9030): 전문 상담사가 1:1 개인별 전담 상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개인의 비밀성이 보장되고 실천적이며 현실적인 방법의 상담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금연 도움을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병·의원 금연 치료: 의사로부터 흡연의 위해나 금연의 이득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적절한 약물요법을 처방받을 수도 있습니다. 가족, 친지, 동료 등에게 금연 지지를 요청하면 도움이 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가까운 금연 치료 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습니다.
  4. 금연캠프: 전국 17개 시·도의 지역금연지원센터에서는 20 이상 흡연한 중증·고도 흡연자를 대상으로 4박 5일 전문 치료형 금연캠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폐 CT 및 흡연과 관련된 검진, 금연 진료 및 약물 처방, 심리 상담을 제공합니다.
  5. 찾아가는 금연 지원 서비스: 보건소 등 기존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거나 흡연율이 높고 금연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흡연자가 있는 곳에 찾아가 금연 상담(대면, 전화) 등을 제공하며, 6개월간 금연 프로그램을 합니다. 금연두드림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 대상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온라인 금연 지원 서비스: 금연길라잡이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다양한 흡연 예방 및 금연 관련 정보와 온라인 금연 상담 서비스를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통해 금연 과정이 좀 더 수월하고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금연을 향한 여정에서 이 지원들을 적극 활용해 보시기를 권장합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