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중양성 1기 림프전이없음 2021.3 부분절제수술 후 항암 4회.4회 방사선20회 ,표적치료18회 올6월에 끝남. 작년 11월 정기검진ct에서 흉추에서 아주 작은 음영이 보여 그후 뼈스캔, mri.pet-ct (3개월간격) 최종 9월에 뼈전이로 판명. *<질문> 복용하고 있는 에이덱스 처방받고 다른 치료나 처방이 없어서 불안하고 앞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긍금해요. 그리고 뼈전이된 것이 없어질 수도 있나요? 또 전 척추관협착증 (4.5)이 30년 되었는데 증세는 심하지 않다는데 통증이 6개월동안 지속되어 마약진통제 (타진서방정5/2.5mg) 복용한지 4개월 정도 됐어요. 신경차단주사 치료 및 물리치료는 어떨까요? 뼈전이 된 흉추(8)은 별 이상이 없고요. 감사합니다 ~~^^
부분 후 항암 및 방사선, 표적 치료로 힘드셨을 텐데 그 과정을 소화해내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루닛케어에서 제공해드리는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답변에 앞서, 루닛케어는 근거 기반의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의료진의 진단과 치료 계획 범위 안에서 상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자체적인 진단과 처방을 내리거나 치료 계획을 결정하지는 않음을 말씀드립니다.
현재 를 마치시고 항호르몬(항암내분비)요법으로 에이덱스를 복용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아시겠지만 치료 과정에서 항호르몬요법은 방사선요법이나 과 비교하여 이 적으면서도 효과적인 치료방법입니다. 현재 질문자님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해 알기 힘들지만, 유방암 조직검사 결과 및 이전 치료과정을 고려하여 주치의선생님께서 에이덱스 치료를 결정하신 것으로 보여집니다. 에이덱스를 투여하면서 주기적인 검사를 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에이덱스를 계속 처방할지, 약제를 바꿀지에 대해 주치의 선생님께서 결정하실 것으로 사료됩니다. 또한, 환자분의 에 효과가 좋은 약제를 투여하게 되면 암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증상이 완화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아나스트로졸의 부작용 중에 뼈 이 있으나, 기존에 진단받은 척추관이나, 흉추 로 인한 통증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주치의 선생님과 증상에 대한 구체적인 상의를 해보신 후 약물이나 치료방법을 바꾸거나 추가할 수도 있으니 증상과 관련해 충분한 상담을 해보시는 것은 권장드립니다. 또한, 성 의 지속적인 투여 중인데도 불구하고 통증 정도가 나아지지 않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는 정도로 지속된다면 주치의 선생님과의 진료 및 상담(자세한 결과 확인, 치료 방향 결정)을 통해 통증 조절의 방법을 논의하고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때 신경차단 주사 및 물리치료가 현재 시점에서 도움이 되는지, 가능한지에 대해 함께 여쭤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문의해주신 내용에 대해 걱정이 많으시겠지만, 질문자님의 유방암 치료 여정에 저희 루닛케어가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부분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해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고 싶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o:p>
● 한국유방암학회 홈페이지<o:p>
● Mayoclinic 홈페이지<o:p>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