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투양성이라 선항암 수술이후 완관되어 표적으로 허셉틴2차 진행했습니다. 선항암때 부작용으로 안면홍조가 심하게 와서 고생했는데 표적때도 홍조가 와요. 찻수가 지나면 좀 나아질까요. 1차때포트있어 혈관으로 진행했는데홍조있어 2차엔 피하주사로 진행해봤눈데 역시 홍조또 생기네요. 근데 혈관으로 삼페넷 150mg 맞았는데 피하 600mg 은 너무 차이기 많이 나는거 아닌가요
질문자님께서 항암 치료를 받으시면서 지속적으로 안면홍조를 경험하고 계신 점, 매우 불편하고 걱정스러우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의 홍조 과 사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허셉틴(트라스투주맙)은 HER2 양성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표적치료제입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치료 과정 중 안면홍조, 가슴 두근거림, 등 혈관 관련 반응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허셉틴 사용 시 안면 홍조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투여 경로 영향 : 피하주사 시 약물 흡수 속도가 빠르면 일시적인 혈관 확장을 유발할 수 있으나 IV(정맥)와 SC(피하) 모두에서 발생 가능성이 보고되었습니다.
구분 | IV(정맥) | SC(피하) |
용량 | 6mg/kg (체중 당) | 600mg (고정량) |
투여주기 | 3주 간격 | 3주 간격 |
특징 | 체중에 비례한 정밀 투여 | 편의성 ↑, 주사 시간 2-5분으로 단축 |
150mg vs 600mg 차이 | 체중 50kg 기준 300mg 투여 시 | 모든 체중에서 600mg 고정 투여 |
유효성 | 혈중 농도 20μg/ml 유지 | 동등한 혈중 농도 달성 |
예를 들어 체중 50kg 환자의 경우 IV로 300mg 투여 시 SC 600mg보다 용량이 낮지만, 피하 주사제는 흡수율이 낮아 동등한 효과를 내기 위해 고안된 것입니다. 이는 2019년 FDA 승인 시 제약사에서 제출한 약동학 데이터로 입증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안면 홍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관리 및 실질적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생활 관리
2.약물 요법
비호르몬제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사 선생님과 상담 후 필요 시 복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투여 방법 최적화
4.중요한 병원 방문 시점
안면홍조와 함께 호흡곤란, 현기증, 또는 전신 같은 증상이 동반될 경우에는 심각한 과민 반응일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에 알려야 하며 주사 부위 이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감염 또는 조직 이상 가능성을 고려해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정리하면, 안면홍조는 허셉틴의 대표적 부작용으로 투여 경로 변경만으로는 완전 해결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현재 증상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10점 척도로 평가해 담당 의사 선생님과 공유하시고 등 다른 약물들도 사용하는 것을 논의해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허셉틴의 항암 효과는 투여 경로와 무관하게 유지되므로 치료 지속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더불어, 루닛케어는 환자와 가족분들의 여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I 영양사: 필요한 식단과 음식, 건강기능보조식품에 대한 궁금증을 AI에게 언제라도 편하게 물어보고, 참고할 수 있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National Cancer Institute. (2023). Trastuzumab (Herceptin) Sid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