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의 수술 방법은 수술 범위에 따라 크게 부분절제술과 전절제술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유방의 모양을 살리기 위해 재건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수술 방법에 따라 나누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부분절제술
부분절제술(유방보존술)이란 무엇인가요? 부분절제술은 유방보존술로도 불리며 유방의 모양을 살리면서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 방법이에요. 1981년 이전에는 유방암을 진단받으면 유방암이 발생한 유방 전체를 필수적으로 제거해야 했지만, 부분절제술이라는 수술 방법이 새롭게 개발되어 1986년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되었습니다. 부분절제술이란 암 조직과 주변의 의심되는 조직
전절제술
전절제술이란 무엇인가요?유방전절제술은 유방암이 발생한 유방 전체를 절제하여 암을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장 전통적인 유방암 치료 방법이며, 일반적으로 부분절제술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시행하게 됩니다. 전절제술의 구체적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단순 유방절제술(Simple mastectomy, Total mastectomy)유두, 유륜 그리고 피부를 포함
액와림프절 곽청술
액와림프절 곽청술이란 무엇인가요?액와림프절이란 겨드랑이 부위에 모여있는 림프절을 말합니다. 겨드랑이는 피부, 쇄골, 흉근 등 다양한 신체 기관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액와림프절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액와림프절은 크게 세 부위로 나눌 수 있으며, 구체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액와림프절 level 1: 소흉
로봇절제술
일반적인 유방암 수술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나 사람의 손이 아닌 로봇 기계의 팔을 이용하여 수술이 진행됩니다. 일반적인 유방 전절제술의 경우 말 그대로 유방 전체를 절제하기 위해 절개범위가 넓습니다. 로봇 수술의 경우 로봇팔이 들어갈 만큼의 절개만 필요하기 때문에, 그 절개범위가 대략 5cm 정도로 작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작은 절개로 인해 합병증, 통증이
수술 부작용
부분절제술(유방보존술)/전절제술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수술 부위 또는 어깨나 팔의 통증, 관절 가동범위 제한, 혈전, 장액종, 감염(상처 부위 감염, 고열, 폐렴 등), 변비, 배뇨 관련 문제, 겨드랑이 막 증후군, 림프부종, 식욕 저하 등 수술 전, 후에 만나게 되는 의료진은 다음과 같아요. 갑자기 다양한 의료진을 만나게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