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위암으로 진단되면 병의 진행 정도, 즉 병기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병기는 완치 가능성을 예측하는 기준이기도 합니다.조기위암 중 크기가 작고 분화도가 좋은 경우에는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없어서 내시경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치료 기준을 넘어선 조기위암과 2~3기의 진행성 위암은 수술로 암과 주변의 림프
수술적 치료
위암 치료에서 수술의 경우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로, 암 제거를 위한 수술이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수술입니다. 둘째로, 완화 수술이 있습니다. 완화 수술은 암이 너무 광범위하게 퍼져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경우, 종양으로 인한 출혈을 예방하거나 위가 막히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하는 수술 입니다. 이
상황에 따른 수술 방법
내시경적 점막하박리술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내시경 점막하절제술은 다음과 같은 경우 시행할 수 있습니다: 조기위암 중에서도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거의 없는 암위점막에만 암이 존재크기가 2cm 이내암세포의 분화도가 좋은 경우수술 방법 수면내시경 방식으로 30~60분 정도 소요됩니다. 내시경으로 병변 바로 아래에 생리식염
위수술 전후의 과정
모든 검사를 마치고 수술을 하기로 결정이 나면 담당 외과의사와 함께 수술 날짜를 정하게 됩니다. 암이 계속 자라나는 병임을 생각하면 가능한 한 빨리 수술을 하고 싶겠지만, 상황에 따라 수술이 지연될 수도 있습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위암의 진행은 비교적 느려서 조기 위암이 진행성 위암이 되는 데는 평균 3~4년쯤 걸린다고 하므로, 사정이 여의치 않다고 해
항암화학요법
위암에서 항암화학요법은 크게 세 가지 역할을 합니다. 첫번째는 수술 후 재발을 방지하고자 시행하는 보조적 항암요법입니다. 2기 또는 3기의 진행암에서는 수술로 완전히 절제했다 하더라도 40~60% 정도에서 재발합니다. 이러한 재발을 줄이고자 항암치료를 하고, 실제 연구결과 보조적 항암치료를 한 환자가 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생존률이 높았습니다.둘째, 수술적
방사선 치료
방사선치료는 위암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위암 수술이 어려운 미국 등에서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방사선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임상연구 결과에 따라 향후 치료 방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편 방사선치료는 위암이 척추 등 고정된 장기에 전이되었을 때 암의 진행을 막고 통증을 완화하기 위
위암 병기별 치료
위암의 치료는 주로 암이 위의 어디에 위치해 있고, 얼마나 멀리 퍼져 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하지만 환자의 나이, 전반적인 건강 상태, 선호도 등 다른 요인들도 중요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암의 진행 정도에 따른 치료 방향을 정리하여 소개합니다. 매우 초기 단계의 암 (0기, 1기)매우 초기 단계 암은 일반적으로 수술로 치료할 수 있으며, 위의